Search
🐱

반려묘 검사 항목

25년 6월 업데이트 검사 항목
아래 유전 질환 관련 선택 항목이 추가되었습니다.
해당 질병명을 클릭하시면 질병에 대한 설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반려견 : 신경 말초신경병증
반려묘 : 뼈와관절 연골 이형성증, 왜소증
1.
심장 비대성 심근증
비대성 심근증은 고양이에서 흔히 발생하는 심장 질환으로 심장 근육벽이 두꺼워져 혈액 순환이 어려워지는 상태입니다. 이로 인해 심장 기능이 약화되고 다른 장기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호흡 곤란, 피로, 무기력 등이 나타납니다. 유전자 검사를 통해 조기에 발견하여 심장 초음파를 포함한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사 선택시 꼭 읽어 주세요
비대성 심근증(HCM)은 고양이에서 가장 흔한 심장 질환이지만, 모든 개체가 동일한 유전 변이의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품종에 따라 HCM과 관련된 유전 변이가 다르게 연구되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 유형별로 구분하여 진행됩니다.
비대성 심근증(도메스틱 타입)
검사 유전자: MYH7
대상 품종: 도메스틱 쇼트헤어 등
비대성 심근증(랙돌 타입)
검사 유전자: MYBPC3
대상 품종: 랙돌, 먼치킨, 하이랜더, 아메리칸 밥테일 등
비대성 심근증(메인 쿤 타입)
검사 유전자: MYBPC3
대상 품종: 메인쿤, 시베리안 등
비대성 심근증(스핑크스 타입)
검사 유전자: ALMS1
대상 품종: 스핑크스, 스코티시 폴드, 엑조틱 쇼트헤어 등
2.
신장 다낭성 신장 질환
다낭성 신장 질환은 신장에 체액으로 채워진 낭종들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신장 내 낭종이 여러 개 발생하고, 크기가 점차 커집니다. 이로 인해 정상 조직을 압박받아 신장 기능이 점진적으로 약화됩니다.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만성 신부전(신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는 상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유전자 검사를 통한 조기 발견과 신장 건강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검사 유전자: PKD1
대상 품종: 페르시안, 데본 렉스, 메인 쿤, 랙돌, 스코티시 폴드/스트레이트, 셀커크 렉스, 시베리안, 브리티시 쇼트/롱헤어, 도메스틱 쇼트헤어, 엑조틱 쇼트/롱헤어, 하이랜드 폴드 등
3.
뼈와관절 골연골 이형성증
스코티시폴드 고양이의 접힌 귀는 유전적 결함으로 인해 연골 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입니다. 이 결함은 귀 뿐만 아니라 관절에도 영향을 미쳐 심각한 뼈와 연골 기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고통스러운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검사 유전자: TRPV4
대상 품종: 스코티시 폴드, 하이랜드 폴드, 아메리칸 컬 등
4.
뼈와관절 비타민 D 결핍
비타민 D는 뼈 건강을 유지하고 칼슘 흡수를 돕는 필수 영양소입니다. 부족할 경우 칼슘이 뼈에 제대로 흡수되지 않아 뼈가 약해지고 변형되는 구루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루병은 고양이의 뼈 발육에 문제를 일으키며, 주로 비타민 D 부족이나 유전적 요인으로 나타납니다. 적절한 영양 섭취와 관리로 예방이 가능합니다.
검사 유전자: VDR
대상 품종: 도메스틱 롱헤어 등
5.
대사 피루브산염 카이네이스 결핍증
피루브산염 카이네이스 결핍증은 세포가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효소가 부족해 발생하는 유전 질환입니다. 적혈구가 가장 큰 영향을 받아 손상되거나 감소하여 용혈성 빈혈이 생깁니다. 이로 인해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서 피로, 무기력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전자 검사를 통해 조기발견하여 정기 검진과 맞춤형 치료가 필요합니다.
검사 유전자: PKLR
대상 품종: 아비시니안, 벵갈, 하이랜더, 먼치킨, 메인 쿤, 노르웨이 숲, 싱가푸라, 시베리안 등
6.
약물 반응 다중 약물 내성
다중 약물 내성은 특정 약물에 과민 반응을 보이는 상태로 유전자 변이가 원인입니다. 특히 이버멕틴 같은 약물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행히 약물에 노출되지 않으면 큰 문제 없이 정상적으로 생활할 수 있습니다. 유전자 검사를 통해 약물 반응 여부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사 유전자: ABCB1
대상 품종: 도메스틱 쇼트헤어/롱헤어, 메인 쿤 등
7.
혈액 제 12 응고인자 결핍증
제 12 응고인자가 부족해 혈액 응고 과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지만 다른 응고인자가 이를 보완해 큰 출혈 문제는 일으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로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입니다. 혈액 검사를 통해 발견되기도 하지만 유전자 검사를 통해 조기발견하면 예방적 관리가 가능합니다.
검사 유전자: F12
대상 품종: 도메스틱 쇼트헤어, 벵갈, 데본 렉스, 히말라야, 하이랜더, 메인 쿤, 먼치킨, 메뉴에트, 랙돌, 페르시안, 스코티시 폴드/스트레이트, 샴, 스핑크스, 터키시 앙고라, 셀커크 렉스 등
8.
대사 비만
유전적 비만은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에너지 대사와 지방 축적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태입니다. 후천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비만과는 달리 운동과 식이 조절만으로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특정 유전자 변이가 식욕 억제와 대사 균형에 영향을 주어 체중이 쉽게 증가합니다. 조기 발견과 맞춤형 관리가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중요합니다.
검사 유전자: POMC (해당 유전자는 아직 비만의 명확한 원인으로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비만 관련 후보 유전자로 보고된 상태입니다.)
대상 품종: 도메스틱 쇼트헤어 등
9.
진행성 망막 위축증
망막은 눈 안쪽에서 빛을 감지하고 시각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한 부위입니다. 진행성 망막 위축증은 망막의 세포가 점차 퇴화하면서 시력을 잃게 되는 유전 질환입니다. 야맹증으로 시작해 주변 시야가 좁아지며, 결국 실명에 이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양이는 시력 변화에 비교적 잘 적응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가 더욱 원활한 적응을 돕고 전반적인 삶의 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검사 유전자: CRX
대상 품종: 아비시니안, 소말리 등
10.
종양 골연골종증
골연골종증은 고양이에서 발생하는 양성 뼈 종양으로 연골이 뼈로 변하면서 발생합니다.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이 있지만 드물게 유전적 원인으로도 나타납니다. 유전자 검사를 통하여 조기에 발견하여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술적 치료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검사 유전자: EXT1
대상 품종: 러시안 블루 등
11.
피부 엘러스-단로스 증후군 (EDS)
엘러스-단로스 증후군(EDS: Ehlers-Danlos Syndrome)은 피부와 결합조직의 콜라겐 형성에 문제가 생겨 피부가 과도하게 늘어나고 상처가 쉽게 생기는 유전 질환입니다. 주로 고양이에서 관찰되며, 피부가 유난히 늘어지거나, 약한 마찰에도 찢어지며, 상처 회복이 느린 증상이 특징입니다. 조기 유전자 검사를 통해 발병 위험을 확인하고,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환경을 정돈하거나, 날카로운 물건 피하기, 생활 전반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검사 유전자: COL5A1
대상 품종: 벵갈, 도메스틱 쇼트헤어, 봄베이
12.
뼈와관절 전두비골 이형성증
전두비골 이형성증은 고양이의 얼굴 중앙부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선천성 유전 질환입니다. 버미즈 고양이에서 ALX1 유전자 결실과 연관된 사례가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이 유전자가 두 개 모두 결실된 경우에는 생명을 유지하기 어려울 정도의 심각한 두개안면 기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은 태어날 때부터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두 눈 사이 간격이 넓은 안구 과다격리증, 넓은 콧등, 코끝 기형, 얼굴 중앙의 갈라짐 등이 대표적입니다. 더 심한 경우 안구 융합이나 부재, 두개골 결손, 후각신경 결함 등의 기형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단두형 얼굴을 가진 고양이는 호흡기, 치아 구조 문제도 함께 동반될 수 있어, 정기적인 검진과 생활 환경 조절이 필요합니다.
검사 유전자: ALX1
대상 품종: 버미즈, 봄베이, 버밀라, 통키니즈, 오스트레일리안 미스트
13.
뼈와관절 연골 이형성증, 왜소증
연골 이형성증(왜소증)은 뼈의 성장판이 비정상적으로 빨리 닫혀 팔다리가 짧아지고 몸통이 길어 보이는 유전 질환으로, 먼치킨 등 특정 품종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이 질환은 UGDH 유전자 변이로 인해 발생하며, 부모 중 한쪽에게서만 변이 유전자를 물려받으면 짧은 다리 고양이가 태어나지만 두 쪽 모두에서 변이를 물려받으면 배아가 생존하지 못합니다. 짧은 다리 고양이에게는 관절통, 걷기 불편, 관절염 등 2차적 문제가 생길 수 있어, 교배 전 유전자 검사와 함께 미끄러운 바닥 피하기, 점프 제한, 체중 관리, 정기적인 관절 건강 체크가 중요합니다.
검사 유전자: UGDH
대표 품종: 먼치킨(Munchkin), 먼치킨 교배묘 등
이외 더 다양한 유전자 검사가 필요하시다면, 피터페터 파트너스 동물병원에서 상담을 받아보세요. (→바로가기 클릭)